한·러 관계가 최저점이므로 평화상태를 모색할 주변 여건도 나쁘다.
즉각 정서적 공감을 주는 세세한 묘사를 담은 이야기가 전파력 있고 주목받기 마련이다.무분별한 가짜뉴스 공방은 확신의 광신이 넘치는 탈진실시대의 늪을 더 깊게 파는 길이다.
더 많은 팩트체킹과 양질의 저널리즘 교육을 지원하고 사회적 차원에서 정보 리터러시를 키워야 한다.사실 가짜뉴스라는 용어부터가 문제다.지난 정부가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구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일 때 민주주의를 위협한다며 비판했던 사람들은 이제 자리를 바꾸어 가짜뉴스가 국론을 분열하고 나라를 위험에 빠뜨리니 때려잡아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.
그리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혐오표현을 규제하는 것을 어떻게 지혜롭게 양립시킬 수 있는지 하나하나 만만치 않은 과제들이다.미디어 기술과 제도를 담당하는 정책당국이 대비해야 할 과업은 그야말로 태산이다.
이러한 환경 속에서 탈진실 현상과 각자가 의미를 두는 하나의 정체성 속에 몰입하는 현상은 서로에게 동력을 주면서 강력해진다.
그런데 공통점은 희미해져만간다.정전 상황 타개 전망은 더 나빠졌다.
이후 미·중 경쟁과 미·러 대립으로 신냉전이 도래했다.자칫하면 과거처럼 의도치 않게 큰 기회비용을 치를 수 있다.
미·러 사이에서 명료하게 동맹 편에 서기 시작한 셈인데.중·러와의 외교 공간은 어느 만큼인지에 관한 한국형 좌표가 있어야 한다.